보학(譜學) 개념
보학(譜學)이란 보첩(譜牒)에 관한 학문이다.
이를 연구함으로써 그 자체의 향상 발전은 물론 보첩의 이해가 증진된다. 보첩은 족보로 만든 모든 문헌의 총칭이며, 족보란 한겨레 붙이의 세계(世系)를 기록한 문헌으로써 보첩의 대명사로 쓰이기도 한다. 그리고 세계란 말은 대대의 계통, 즉 가계를 일컫는 말이다.
보첩(譜學)의 기원
중 국 : |
3∼5세기의 육조(六朝)(오:吳, 동진:東晉, 송:宋, 제:齊, 양:梁, 진:陳)시대부터 시작되었는데, 10세기에 이르러 소보(蘇譜)로써 체
계를 갖추었다. |
한 국 : |
13세기 고려말엽부터 족보가 시작되었다고는 하나 그것이 오늘에 전해진 것은 하나도 없고, 단지 사대부의 집에는 겨우 가승(家
乘)이 마련되어 오다가 가장 체계를 갖춘 족보는 15세기 후반인 성종 7년(서기 1476)에 비로써 안동 권씨의 성화보(成化譜)가 인
간된 것이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이며, 그 후 명종 20년(서기 1565)에는 문화유씨의 가정보(嘉靖譜)가 간행되었다. 그 당시에는 자
녀의 차별 없이 나이 순으로 수록하였으며, 친손과 외손을 동등하게 다른 것이 특이하다. |
소 보 : |
북송(北宋)의 대문장가인 소순과 그의 아들 소동파 소철 형제에 의해 편찬된 이 족보는 매우 뛰어나, 이를 표본으로 삼아왔기 때
문에 소보라고 전해오고 있다. |
보첩의 의의
(1) 가문의 정치사요, 생활사이다
(2) 혈통의 실증과 혈족여부를 가늠하는 문헌
(3) 소목(昭穆)의 서열 및 촌수의 분간(分揀)
(4) 존조경종(尊祖敬宗) 정신의 앙양
(5) 혈족간 화목단결의 강화
보첩의 종류
(1) 가승(家乘)
가승의 승은 사기승자(史記乘字)로써 한 가족의 사기를 국승(國乘)이라 하거니와 가승이란 한 가문의 사기(史記)라는 뜻이다.
자기를 중심으로 해서 직계존속과 직계비속에 대한 세계를 체계적으로 사적(事蹟)을 갖추어 기록한 문헌이다.
(2) 파보(派譜)
어느 1파에 대한 보첩으로서 시조로부터 파속 전체를 수록한 보첩이다.
(3) 세보(世譜)
한 지역에 거주하는 1파 또는 각 파속들이 한데 어울려 합동으로 편찬한 것을 세보라 하는데, 세지(世誌)라는 말도 이와 같은 것이며, 파보라는 말 대신에 세보라 하기도 한다.
(4) 족보(族譜)
관향(貫鄕)을 단위로 같은 씨족의 전체를 수록한 보첩으로써 한 가문의 역사를 표시하고, 가계의 연속을 실증하는 문헌인데, 모든 보첩의 대명사로 쓰이기도 한다.
(5) 대동보(大同譜)
같은 비조(鼻祖)아래 분적된 시관조(始貫祖)마다 각기 다른 관향(貫鄕)을 가지고 있는 혈족관의 동보로써 종합 편찬한 족보를 일컫는 것인데 바꿔 말하자면 비록 관향은 각각 다를지라도 비조가 동일한 혈족들이 동보로 편찬된 보첩을 일컫는 말이다.
(6) 계보(系譜)
한 가문의 혈통관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명?휘자만을 계통적으로 나타낸 도표로서 한 씨족 전체가 수록되었거나 어느 한 부분만이 표시되었다 할지라도 이는 계보에 속하는 것이다.
(7) 가보, 가첩(家譜, 家牒)
가보나 가첩이란 말은 그 편찬된 형태의 표현이 아니라 각자 집안에 소장되어 있는 보첩이란 것을 일컫는 말이다.
(8) 종보(縱譜)와 횡간보(橫間譜)
보첩을 편찬하는 방식에 있어서 크게 나누면 두 가지의 종류가 있다. 그 하나는 행용 줄보라고 일컫는 종보인 것이요, 또 하나는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횡간보인데, 이를 간보(間譜) 또는 단보(段譜)라고도 일컫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