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의 의의

한국의 전통의상을 한복이라고 부른다.
한복의 상의는 저고리라 부르며, 하의로 바지를 입는데 여성도 애초에는 바지를 입었던 것으로 생각되나 나중에는 치마를 입어 남성복과 달라졌다. 여성의 옷은 상의가 짧고 하의는 길어 단정하고 아담하다. 한국인은 백의민족으로 불릴 만큼 흰색을 선호했지만 평민의 의복이었을 뿐 관원들의 의복은 주로 색복이었다. 그래도 한민족의 정서는 흰색으로 통한다. 한복은 예복과 평상복의 구분이 있으며, 이에 여러 종류의 속옷이 따른다. 또한 남녀별, 계절별, 성인용과 어린이용으로 나뉘며 예전에는 신분에 따라 옷의 모양이나 색깔이 달랐다. 그러나 요즘은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입는다. 직선과 약간의 곡선이 기본을 이루고 있는 한복은 선이 매우 아름다운게 특징이며 옷 입는 분위기는 동양적인 생활윤리가 깃든 초연한 멋이 저절로 풍긴다.

우리 한복은 역사의 흐름 속에서 외부적인 영향을 받으며 약간의 변화는 있었지만 바지, 저고리와 치마 저고리의 기본적인 구조는 지금까지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우리의 한복은 의외로 기능적인 면이 돋보이는 옷이다. 인체에 맞춰 곡선으로 바느질해 만든 한복은 활동하기에 편안하다. 풍성한 여자 치마와 남자의 바지는 몸을 구속하지 않아 일상생활이 자유롭다. 여러 겹의 속옷을 겹쳐 입어도 겉옷의 실루엣에는 변함이 없는 것도 장점이다. 또한 한복의 여유와 넉넉함은 신체적인 결함마저도 감춰준다.

한복은 단순한 이미지에 비해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옷이다. 계절과 성별에 따라 다양한 옷감을 사용함에 따라 나름의 독특한 멋을 풍겼다. 여름에는 모시나 베를 사용했고, 봄, 가을에는 얇은 비단인 사 종류를, 겨울에는 양단, 공단, 모본단 등 단 종류를 사용했다. 모시나 베는 빳빳하면서도 힘있는 실루엣을 만들었고 비단 종류의 옷감은 부드러우면서도 기품있는 멋을 자아냈다. 또 같은 옷감이라도 손질하기에 따라 그 느낌이 달랐다.

뭐니 뭐니 해도 단순한 한복에 생기와 멋을 불어넣는 것은 선의 아름다움이다. 여인의 하얀 목선의 아름다움을 강조해주는 저고리의 안깃과 겉깃이 이루는 V자형의 선이나, 자연스럽게 둥글린 배래의 곡선은 온화한 미를 돋보이게 한다. 한편 저고리에서 치마까지 수직으로 떨어지는 고름의 선은 단아하면서도 정숙한 멋을 풍긴다. 치마허리부터 아래쪽으로 퍼져 내려가 은은한 라인을 보여주는 치마의 잔주름도 우아한 멋을 강조한다. 선의 아름다움은 남자 한복도 마찬가지다. 대님으로 묶은 남자 바짓부리의 선은 힘있는 남성적인 아름다움을 준다.

한편 두루마기의 경우엔 겨드랑이 아래부터 끝단까지 삼각형의 루를 달아 아래로 갈수록 펴지는 A라인이 매력적이다. 걸음걸이와 입는 이의 맵시에 따라 한복의 선의 아름다움은 더욱 강조된다. 이밖에도 한복은 배색과 무늬, 장식 등이 감각적이다. 두 가지 이상의 색을 사용한 배색은 단순한 색의 배합의 의미를 넘어 음양오행 사상의 이치에 따른 것이었다. 따라서 색으로써 예의를 차렸고 성별을 구별하고 귀천, 입는 이의 상황을 나타냈다. 양장에서라면 어색하고 촌스럽게 느껴지는 배색도 한복에서는 무난하게 어울린다. 또 단순한 무늬나 수 장식으로도 멋을 살렸는데 무늬나 수의 장식은 보고가 안녕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었다.

한복은 경제적인 옷이다. 한복은 손질과 관리만 잘해주면 오랜 기간 입을 수 있다. 많은 여분을 두기 때문에 체형이 변하더라도 언제든지 새롭게 옷을 고쳐 지을 수 있다. 또 옷감에 천연물을 들여 언제든지 원하는 색으로 바꿔 입을 수 있다.

한복은 예절을 가르치는 옷이다. 한복은 입는 사람의 마음가짐이나 행동이 그대로 드러나는 옷이다. 단정하고 정숙하게 맨 저고리의 고름이나 뒤트임이 있는 차마는 입는 이의 행동을 더욱 조심스럽게 한다. 이런 정숙한 걸음걸이나 바른 몸가짐으로 인해 한복은 더욱 아름답게 돋보인다. 한복이이야말로 세계에 자랑할 만한 멋과 향기가 그득한 우리 옷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