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경내에 있는 충의공 정문부 장군의 북관대첩비의 모탁비 이전 반대 운동 동참 요청

정기승 0 2,279 2019.12.17 18:48

  

      해 주 정 씨 대 종 친 회

 

수 신 : 국립고궁박물관장

참 조 : 국립고궁박물관 우은호 팀장

: 북관대첩비(모탁비)의 이전 반대

1. 귀 관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2. 저희 해주정씨대종친회는 북관대첩의 의병장 충의공 정문부 장군의 후손들로 이루어진 종중단체입니다.

최근 귀청에서 경복궁 복원 정비사업(2)과 관련하여 현재 고궁박물관 경내에 있는 북관대첩비의 모탁비(模拓碑)를 다른 곳으로 이전할 것을 검토한다는 소식을 듣고 이에 반대하는 의견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3. 아시다시피 북관대첩비는 임진왜란 때 함경도 지역 의병들이 왜적을 무찌르고 강토를 수복한 전승기념비입니다. 당시 함경도는 관군이 패주하고 관리들은 모두 숨어버렸으며 왜군과 이에 빌붙은 반역자들이 다스리고 있었습니다. 이때 28세의 젊은 북평사 정문부(鄭文孚)를 중심으로 뜻있는 선비들이 의병을 일으켰습니다. 민초들이 조정의 도움 없이 오로지 충의로써 서로 격려하며 뭉쳐서 함경도를 완전 수복한 북관대첩은 육전에서 최대의 승리였읍니다. 그러나 조정의 무관심으로 위대한 승첩이 잊힐 번 하다가 100 여년이 지나 1708년 주민들이 함경도 길주 임명에 북관대첩비를 세웠습니다.

 

4. 1905년 러·일 전쟁 때 일본군이 북관대첩비를 발견하고 왜군의 패전 기록이고 반일감정(反日感情)을 자극할 우려가 있다 하여 일본으로 가져갔습니다. 후손들은 일제 치하에서는 그런 사실을 모르고 있다가 광복 후 북관대첩비 환수를 도모했으나 어디에 있는지조차 알 수 없었습니다. 1978년 봄 최서면(崔書勉) 국제한국연구원장에 의하여 야스쿠니신사 경내에 있다는 것이 알려지자 후손들은 찾아가 참배하였습니다. 머릿돌 대신 버섯모양의 커다란 막돌에 눌려있고 비둘기 똥에 뒤덮인 것을 보고 후손들은 통곡했습니다. 일본과 정부에 환수를 촉구하고 언론기관, 시민단체 등과 함께 수십 년간 환수운동을 벌렸지만 일본 측은 비가 원래 있던 곳이 북한이라는 이유로 반환을 거절하였습니다.

 

5. 20053월 한·일불교복지협회의 초산 엄태종 스님과 북측의 조선불교도연맹 간에 북관대첩비를 공동으로 환수하자고 협의하, 20056월에 남북장관급회담에서 비를 남측이 환수하여 북측에 인도하기로 합의하였습니다. 우리 정부는 북관대첩비 환수 복원을 광복 60주년 기념사업의 하나로 정하여 환수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환수와 인도에 관련되는 여러 절차와 행사를 협의 결정하게 하였습니다.

드디어 20051020100년 만에 북관대첩비가 환국하였고 북관대첩비맞이 국중대회 환송고유제 등의 행사를 거쳐 200631일 북측에 인도하였습니다. 북측은 2006323일 김책시(길주) 임명리에 비를 복원하여 세우고 국보유적 제193호로 등록하였습니다.

 

6. 정문부 장군을 비롯한 북관의병들의 후손들은 비를 우리 남측에서 잘 보관하였다가 통일 후에 북측으로 인도할 것을 강력히 요구하였습니다. 그러나 문화재 반환은 원래의 자리로 복원한다는 원상회복의 원칙 때문에 원래의 비석을 북측에 인도하되 남측에 비문을 탁본하여 모탁비를 세운 것입니다. 그 건립 장소를 경복궁과 독립기념관으로 정한 것은 후손을 비롯한 모든 국민들이 수시로 참배 할 수 있고, 경복궁과 독립기념관을 찾는 내외 관광객들에게 일본의 야만적 행위를 알리는데 가장 좋은 장소이기 때문입니다.

북관대첩비를 환수하여 원래 있던 북한의 임명에 복원하고 남한에 모탁비를 세운 것은 약탈당했던 문화재를 남과 북의 정부와 민()이 서로 협력하여 성취한 역사적 첫 사업이므로 이를 잘 보전해야 합니다.

 

7. 이 비를 진주박물관으로 이전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고 하나 진주에는 정문부장군의 사당인 충의사 경내에 이미 후손들이 건립한 모탁비가 있습니다. 더구나 진주박물관의 이용관람객은 경복궁의 1000 분의 1도 안됩니다. 그렇다면 모탁비 건립의 의의가 없어집니다.

 

8. 현재 경복궁 경내의 북관대첩비가 차지하고 있는 면적이 적어서 복원정비사업에 아무 지장이 없을 것으로 짐작됩니다. 오히려 현재의 안내문에 위와 같은 당초의 건립 취지를 보다 자세하게 기록하여 모든 관람객들에게 알리는 것이 훨씬 나은 정책방향으로 생각됩니다.

 

9. 아무쪼록 저희들의 간절한 소망을 가납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별 첨 : 1. 해주정씨종보 (북관대첩비 환국특집) 2005 가을호

2. 해주정씨종보 (북관대첩비 인도특집) 2006 봄호 끝.

 

  ---------------------------------------------------------------

 

   위와 같은 공문을 대종친회에서 문화재청과  국립고궁박물관 우은호 팀장 담당자에게 발송했다고 합니다.

 모든 종친들께서 북관대첩비 모탁비가 경복궁내에 영구히 보존되어 정문부 장군의 임란 위국 큰 공적이 모든 국민들로 부터 추앙 받을 수 있도록 합심하여 지켜 낼 수 있도록 노력 해야 할 것입니다.

  후손들께서 각 분야에서 각자의 능력을 발휘하여 힘써주실 것을 당부드리고 싶습니다.

 계속 추진되는 사항을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해주정씨대종친회 서울지회 회장  정 기 승 드림.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96 해주정씨 우후공파 종친회2025.정기총회 개최:25.3.15 정광섭 03.16 123
295 인천 뿌리깊은 가문초청 간담회 참가:25.3.12 정광섭 03.12 110
294 해주정씨 행촌공파 2025년 정기총회 정광섭 03.06 112
293 해주정씨 우후공파 종친회 2025년도 정기총회 개최 안내 정광섭 02.24 165
292 해주정씨 대종친회 인천지회 정기총회개최(25.2.16) 정광섭 02.22 134
291 명암 정식선조의 명옹대 각자와 관련된 역사 이야기 댓글+1 정태종 01.26 174
290 용강공파 2025년 정기 종회(총회) 실시 정태종 01.06 202
289 용강공파 종현 주소변동사항 보고 정태종 01.01 182
288 해주정씨 종원 여러분 새해에 복 많이받으세요 정광섭 2024.12.29 207
287 합천 가야산 홍류동 명암 정식 선조의 각자를 찾아서.. 댓글+1 정태종 2024.12.19 211
286 용강공파 종현 닿력발송 관련 변동사항 보고 정태종 2024.11.29 208
285 용강공파, 2024 가을시향 종료되다. 정태종 2024.11.24 246
284 우후공 종친회 시제사(24.11.10 음10.10) 정광섭 2024.11.10 266
283 송산종중 시제봉행(24.10.2음 :2024.11.2)및 정기총회 정광섭 2024.11.02 327
282 2024 년 해주정씨 대종친회 여주시제(음10.1 :24. 11.1) 댓글+1 정광섭 2024.11.02 310
281 우후공파 종친회 제73차이사회의 개최(2024.10.25) 정광섭 2024.10.27 235
280 용강공파 (고)정태범 부인 허윤정 여류시인 책자벌간 안내 정태종 2024.10.13 277
279 제15회 허암정희량 예술제 시상식 둘러보기 24.10.9 정광섭 2024.10.09 266
278 해정 및 용강공파 선조의 발자취 발간 댓글+3 정태종 2024.10.04 283
277 제2회 충의공 예술제 기념식(정문부 장군 서거400주년기념) 24.9.28 정광섭 2024.09.28 251
276 비오는 날의 ( 수채화?)장학금 수여식 정광섭 2024.09.22 347
275 사진으로 보는 우후가족 공원 벌초 정광섭 2024.09.02 359
274 덕산 무이정사, 중국 복건성 무이정사 기행(회고) 댓글+1 정태종 2024.07.20 354
273 해주정씨 대종친회 장학금 지급 신청 정광섭 2024.07.04 635
272 우후공종친회 , 인천지회 원로 임원 이사 함께 유적지 탐방 24.5.11 정광섭 2024.05.11 583

종친회종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