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례행사 시 축문 낭독(독축) 요령

정기승 2 6,633 2020.04.24 19:39

제례행사 시 축문 낭독(독축) 요령

 

 

 

< 제례(祭禮)행사 시 축문(祝文)을 읽는 방법 >

 

1. 너무 크게 읽거나 너무 작게 읽어도 안 됩니다.

 

2.기교(技巧-기술이나 솜씨가 아주 교묘함.) 섞인

가성(假聲-일부러 꾸며 내는 목소리)으로

 읽는 것은 더욱 안 됩니다.

     

3.  축문을 낭독하는 분은 조상을 생각하는

 간절한 마음으로 

      여읍(如泣)-돌아가신 조상(祖上)을 기리는

애절한 마음으로 흐느끼며 읊조리듯

 읽으면 좋습니다. - <읊조리듯>

      여소(如訴)-조상에 대한 죄송스러움으로 하소연

하듯 읽어야 합니다.- <하소연하듯> 

       여원(如怨)-조상에 대한 효도(孝道)를 다하지 못한

         자신을 원망하듯 읽어야 합니다- <원망하듯> 

       여모(如慕)-조상을 영원히 잊지 못하는 마음으로

 사모(思慕하는 듯 하여야 한다고

말하였습니다.- <사모하듯>

 

 ※ 함께 참여한 분들이 살짝 들을 수 있을

 정도로 읽으면 좋습니다.

 

      ※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 선생

    축문 낭독소리는 너무 높아도, 너무 낮아도

   안 되며, 제사 참여한 모든 사람이 들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면 된다고  했습니다.

 

  4. 독축(讀祝-축문을 읽음)은  창홀(唱笏-단어들을

가락에 맞춰 부르는 것.) 읽는 방법과 다르고

아래를 참고하셨음 합니다.

                                                  ※ 경건마음으로 독(讀-읽다.)하면서

축(祝-기원하다.)과 애(哀-슬프다.) 와

       경(敬-공경하고.) 과 고(告-고하다.)하는 등

행사종류와 내용에 맞 도록 사성(四聲)

<한자음의 성조<聲調>에 맞게 읽어야

한다는 학자 도 있지만 쉽지 않으며  참고로

알고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평성<平聲-평탄하고 짧게,  상성<上聲-길고 높고,

              거성<去聲>-장중하고 입성<入聲-잛고빨리 닫는소리.

 

         위 네 종류를 참고하여 고저장단(高低長短)에

맞게 읽는 것이 좋으나 쉽지 않으니

          참고하셨음 합니다.

 

  5. 축문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몇 가지 예를 들면

 보통 많이 쓰는 돌아 가신 부모의 선고비위

     (先考妣位), 조고비(祖考妣),

증조고비(曾祖考妣) 등 4대 봉사 축이나

상사(喪事) 때와 3년 상의 소대상(小大祥),

담제(禫 祭) 등에 사용하는 축은 그 축의

형식과 내용의 틀이 보편적으로 거의

     대동소이하다고 봅니다.

 

  6. 한글 축은 주로 띄어쓰기가 되어 있으므로

 논할 필요가 없지만,

한문으 로만 작성된 축은 읽는

      방법이 내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아래사항을 유념해서 읽으면 좋습니다.

 

     1) 축문내용을 잘 파악(把握)하여 적절하게

띄어 읽어야 합니다.

     2) 문장내용과 글자 음에 따라 장단음(長短音)을

맞추어 읽습니다.

     3) 고저장단에도 유의하시고 너무 늘어지거나

너무 조급하게 읽어도 안 되며

 축문 내용이 짧을

        경우엔 천천히 속도를 느리게 읽고

내용이 많을 경우엔 지루하지 않게

보통속도로 읽는게 좋습니다.


        특히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행사(行事)에서는

      행사에 차질(差跌)이 없도 록 알맞게 읽는게

        좋습니다.

     

  참고 ; 지식백과. 이진하블러그

 

 

 

코로나 영향과 사회적 거리두기 때문에

만남도 자제하고 “집콕” 생활로

많은 불편을 겪고 있는 사회적 분위기입니다.

하루빨리 코로나 퇴치되고 일상으로

돌아왔으면 하고 소망 해 봅니다.

건강관리 잘 하시고 평안하세요.^^

 

송산종중 정기승 배상. 

Comments

정 대근 2020.04.28 21:06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정기승 2020.04.30 03:46
회장님 !
 댓글 남겨 주셔 감사합니다.  코로나 감염 유의하시고 늘 행복하셨음 합니다.
오늘도 멋진 날 보내시길 기원드립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01 2025년 최악 산청산불 발생에서 진화까지.. 댓글+1 정태종 04.03 63
500 꽃샘 추위(화.투.연)에 대하여! 댓글+1 정태종 03.17 73
499 둥글게, 동그랗게!~!(시) 댓글+1 정태종 02.24 112
498 육십에 다시 읽는 論語 요약하다 댓글+1 정태종 02.12 164
497 의정부 충덕사 외 지도보정 정순현 2024.10.18 255
496 드론으로 보는 진주성 댓글+1 정 대근 2024.09.19 274
495 호산의 사계 사진전을 마치고 정 대근 2024.09.19 257
494 고행 강변 추억(수필) 인쇄소 원고를 넘기면서.... 댓글+2 정태종 2024.09.19 246
493 보리개떡(용강공파 정태종) 댓글+1 정태종 2024.09.12 302
492 아름다운 장년, 노년을 위한 매력자본(옮긴 글) 댓글+1 정태종 2024.08.14 290
491 기분좋게 하는 사람 댓글+1 정태종 2024.08.05 332
490 제503주기 사릉(단종대왕비 정순왕후 송씨) 기신제 정명섭 2024.07.17 312
489 명암 정식선조(해정 13세)의 의암비기 그 역사적 의의를 다시 본다. 댓글+3 정태종 2024.05.24 547
488 정도공 묘지이장 사진 정 대근 2024.05.19 511
487 정식(鄭栻) 명암(明庵) 武夷精舍 儒稧 진행영상 정 대근 2024.05.19 417
486 덕산 무이정사 제91차 정기유계(2024.5.12) 개최결과 보고 댓글+1 정태종 2024.05.14 447
485 양주시청 블러그에 게시된 고죽재공 관련글이 있어 알려드립니다. 정기권 2024.05.10 442
484 덕산 무이정사, 무이구곡의 영구 보존 필요성 대두되다. 댓글+1 정태종 2024.05.01 484
483 북관대첩비(北關大捷碑) 한국으로 반환 될대까지 댓글+1 정 대근 2024.04.29 489
482 드론으로 보는 충의사 정 대근 2024.04.29 459
481 11세 정대영(鄭大榮) 선조 집의공 이야기(묘역 철쭉개화소식) 정 대근 2024.04.28 448
480 해.정 13세/ 명암공 정식 선조(용강공 휘 문익의 증손)의 의암사적비 및 의기사 간략소개 댓글+1 정태종 2024.04.26 479
479 용강공파 종원명부 (일부) 삭제요청 정태종 2024.01.08 773
478 최남선의 시 "해에게서 소년에게 전문(1편 -6편)"을 소개합니다.!!! 정태종 2023.12.28 847
477 용강공파 종현 주소변동 및 신규 등록 요청 댓글+1 정태종 2023.12.03 864

종친회종보 보기